여가부 장관 잼버리 회의
7차례 회의 가운데 폭염 논의 전무
폐영 이후 공식 석상 등장하지 않아
![](https://cdn.tenbizt.com/tenbizt/2023/08/25154126/1-%EA%B9%80%ED%98%84%EC%88%99.jpg)
이달 초 전북 부안군 새만금에서 열렸던 제25회 세계스카우트 잼버리 대회의 가장 큰 문제는 폭염이었다. 체감온도 40도에 육박하는 날씨에 온열 질환자가 속출했다. 일년 중 가장 더운 시기에 열린 행사라 충분히 예상됐을 더위인데, 여성가족부는 대책 한 번 논의된 적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한겨레 보도에 따르면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은 올해 2~6월까지 정부부처·잼버리 조직위 관계자 등이 참석한 7차례 회의 가운데 5번의 회의를 주재했는데, 이 회의에서 폭염 대책은 전혀 논의되지 않았다고 한다. 나머지 두 차례 회의에서도 마찬가지였다고.
![](https://cdn.tenbizt.com/tenbizt/2023/08/25154124/2-%EA%B9%80%ED%98%84%EC%88%99.jpg)
회의 기간 안전 대책이 논의되긴 했으나 어디까지나 폭우 대비였다.
폭우에 대비해 전북도가 야영지 내 소배수로 설치 공사를 진행하고, 잼버리 조직위원회가 ‘다중인파 관리대책’을 수립하기로 했다. 또 조직위가 영내 ‘잼버리 병원’과 영외 협력병원(인근 병원) 운영을 맡고, 보건복지부는 ‘이동형 병원’ 1개소를 설치·운영하기로 정했다.
그러나 폭염 대책은 현재 추진사항을 점검하고 향후 계획을 세우는 안건에 포함되지 않았다고 한다.
![](https://cdn.tenbizt.com/tenbizt/2023/08/25154124/3-%EA%B9%80%ED%98%84%EC%88%99.jpg)
한겨레는 “엘니뇨 발생으로 7~8월 폭염이 예상됐던 6차 회의(5월 19일)에서도 폭염 대책은 빠졌다”고 알렸다. 당시 기창청은 엘니뇨 영향으로 7월 중순과 8월 중순 사이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강수량 및 폭염이 증가할 것으로 예보한 상태였다.
이렇게 한 차례도 폭염 대비 대책의 논의되지 않았던 것.
뉴스를 접한 누리꾼들은 “어제 놀라온 외국인도 아니고 한국인이면 8월 초 제일 더운 거 알 텐데 어떻게 폭염 대책을 안 세울 수 있지?”, “그렇다고 시설을 잘 마련한 것도 아니었잖아”, “어떻게 이런 사람이 장관?”, “누가 저 자리에 김현숙을 앉혔는가” 등 비판하는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김현숙 장관은 잼버리 폐영 이후 약 2주 동안 공식 석상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