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산 홍어썰기 기술자
신안군이 창설한 민간 자격증
전문학교도 설립
![](https://cdn.tenbizt.com/tenbizt/2023/10/23163559/1-%ED%99%8D%EC%96%B4.jpg)
전남 신안군 앞바다는 대표적인 홍어 어장이다. 홍어는 국가중요어업유산 11호이자 지리적표시제에 등록돼 귀한 대접을 받고 있다. 홍어를 어떻게 썰어 내냐에 따라 맛에 차이가 있다. 문제는 아무나 쉽게 썰 수 있는 생선이 아니기 때문이다.
홍어는 다른 생선과 달리 부위별 손질과 규격에 맞춘 칼질에 힘이 많이 들어가는데다 썰어놓은 홍어의 배열, 포장이 훨씬 까다롭다. 달인도 한마리를 써는데 30~40분이 걸린다. 하지만 홍어를 전문으로 써는 사람들은 20여 명에 지나지 않고 대부분이 70대 이상 고령자라고 한다.
그래서 지난 2021년 신안군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 ‘흑산 홍어썰기 기술자’를 민간 자격증으로 등록했다.
![](https://cdn.tenbizt.com/tenbizt/2023/10/23163559/2-%ED%99%8D%EC%96%B4.jpg)
홍어를 썰 수만 있으면 한 마리 당 2만~3만원, 일당 30만~60만 원의 일당을 벌 수 있고, 숙달되면 연봉 8,000만 원의 일자리가 생기는 셈이다. 명절 대목에는 일당 100만 원 도 받을 수 있다고 한다.
신안군은 자격증을 만든 것도 모자라 홍어 썰기 전문학교도 설립했다. 신안군과 신안군 관광협회흑산지회, 수협 등은 2020년 흑산면 주민들을 대상으로 6개월 과정 ‘홍어썰기학교’를 열었다.
올해로 4년째를 맞는 흑산홍어썰기학교 수료생은 총 49명으로 이 중 32명이 초급 민간자격증을 취득했다. 박우량 신안군수는 “올해부터는 외지인도 신청이 가능해 대구, 구례 등 외지에서 수강생들이 신청하는 등 해를 거듭할수록 인기가 많아지고 있다”고 밝혔다.
![](https://cdn.tenbizt.com/tenbizt/2023/10/23163559/3-%ED%99%8D%EC%96%B4.jpg)
한편 신안군에는 흑산 홍어잡이 어선 16척을 보유하고 있으며 총허용어획량(TAC) 583톤의 물량을 확보해 조업 중이다. 연간 60억 원의 위판고를 올리고 있다.
흑산도 홍어는 5㎏ 한 마리에 20만~30만 원 할 정도로 국내에서 나는 어류 중 가장 비싼 어종인데다가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