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유업 ‘긴축 재정’ 소식
김선희 대표 연봉 삭감
누리꾼들 응원 나서
![](https://cdn.tenbizt.com/tenbizt/2023/09/07123511/1-%EB%A7%A4%EC%9D%BC%EC%9C%A0%EC%97%85.jpg)
서울우유, 남양유업과 함께 국내 3대 유제품 업계로 꼽히는 매일유업이 별안간 누리꾼들의 열렬한 응원을 받고 있다. 대표가 솔선수범해서 연봉을 깎았다는 이유였다.
최근 블로터에 따르면 매일유업의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은 341억 1,793만 원으로, 2년 전 같은 기간 대비 20.5% 감소한 수치다. 지난해부터 원재료·인건비·물류비 등 원부자재 상승으로 실적이 주저앉기 시작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유제품 소비량도 감소하는 추세다. 낙농진흥회 유통소비통계에 따르면 국내 1인당 일반 우유 소비량은 2017년 26.6kg에서 지난해 26.2kg로 떨어졌다.
이런 상황에서 매일유업은 근래 인상된 원유 소비자 가격만큼 흰 우유 소비자 가격을 올리지 못하고 있다. 여기서 흰 우유는 매일유업의 매출 20% 이상을 차지하는 핵심 제품이다.
![](https://cdn.tenbizt.com/tenbizt/2023/09/07123511/2-%EB%A7%A4%EC%9D%BC%EC%9C%A0%EC%97%85-2.jpg)
이에 매일유업은 ‘긴축 재정’에 돌입했다고 한다. 만 50세 임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신청을 받고 있다. 무어보다 김선희 대표이사는 올해 상반기에 전년(11억 5,000만 원) 대비 50.4%나 감축한 5억 7,000만 원의 연봉을 수령했다.
상황을 접한 누리꾼들은 “기업들 긴축 재정 할 때 임원진이 솔선수범해야 한다고 늘 생각했는데 매일유업이 그걸 하네”, “선천성 대사 이상환자들을 위한 우유를 파는 곳은 매일유업뿐이니 먹어서 도웁시다”, “지금 나가서 매일우유 사온다” 등 매일유업을 응원했다.
이러한 반응은 이른바 ‘대리점 갑질’ 사건부터 불가리스 허위 과장 광고 사건까지 각종 논란을 일으킨 남양유업에 대한 반발로도 분석됐다.
![](https://cdn.tenbizt.com/tenbizt/2023/09/07123511/3-%EB%A7%A4%EC%9D%BC%EC%9C%A0%EC%97%85.jpg)
한편 얼마 전 흰 우유의 재료가 되는 원유의 올해 기본 가격이 최종 확정됐다.
흰우유 등 음용유용 원유 기본 가격은 ℓ당 88원 오른 1084원으로 결정됐다. 이는 지난 2013년 106원 올린 뒤 10년 만에 가장 큰 인상폭이다.
정부가 물가 안정을 위해 우유 가격 인상 자제를 압박하고 있어 유업계의 가격 인상폭은 최소화할 것으로 보인다.
댓글2
모든직원이 성과급 못받을때 혼자만 받은건 안비밀 ㅋㅋㅋ
11억5천에서 5억7천으로…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