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이도 암 생긴 환자
10년 가까이 매일 귀이개 사용
귀에 통증이 있고 염증 흘러
![](https://cdn.tenbizt.com/tenbizt/2024/03/18140508/%EA%B7%80%EC%9D%B4%EA%B0%9C-%EC%99%B8%EC%9D%B4%EB%8F%84%EC%95%94-%EC%9C%84%ED%97%98.jpg)
중국 광저우 출신의 저우(50)씨는 왼쪽 귀에 통증이 있고 염증이 흘러나오는 증상을 보여 병원을 방문했다.
검사를 끝낸 의사는 저우씨에게 ‘외이도암’이라고 결과를 알렸다.
저우씨는 너무 놀라 “귀에도 암이 걸릴 수 있냐”라며 의사에게 물었으나, 의사는 “매일 귀이개를 사용하는 습관 때문이다”라고 답했다.
10년 동안 저우씨는 외이도의 외부 표면을 귀이개로 자극했으며, 귀 조직에서 비정상적인 세포 성장이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외이도암은 악성 종양으로 매우 드문 유형이다.
외이도암은 두경부 종양의 약 0.2%를 차지하며, 전체 발병률은 약 100만 명 중 1명 정도인 희귀질환이기 때문에 오진되기가 쉬워 증상이 심할 때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https://cdn.tenbizt.com/tenbizt/2024/03/18140418/2-202.jpg)
외이도 암은 대개 40~60세 사이의 성인에게 발생하며 치료는 대부분 수술과 약물로 치료 가능하다.
외이도암 초기에는 수술이 가장 효과적이며, 생존율은 90~100%로 높으나, 말기 암의 경우 3.58~72.5%에 불과하다.
이후 저우씨는 암에 걸렸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오랫동안 쌓아온 습관을 고쳤다. 다행히 수술과 추가 방사선치료, 항암치료를 받은 후 잘 회복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귀가 간지럽다고 귀이개를 깊숙하게 넣었다간 고막천공이 생길 수 있다.
고막천공이란 고막에 구멍이 뚫리는 증상으로 귓속을 건드려 고막에 상처를 입혀 귀울림이 심해지는 증상이다. 고막천공은 순간적으로 청력이 감소하며 피나 고름이 나오기도 한다.
특히 당뇨병 환자는 외이도에 생긴 염증이 귀 주변 뼈조직까지 침범할 수 있으므로 귀지를 파지 않는 것을 추천한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