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필라테스 강사 자격증
이름만 달라 1,000개 넘어
자질 없는 강사로 피해 입어
![](https://cdn.tenbizt.com/tenbizt/2023/09/24214519/%EC%B1%84%EC%84%9C%EC%A7%84.jpg)
요즘 동네 건물마다 ‘필라테스’가 들어섰다. 젊은 세대에게 인기를 끄는 운동으로 알려지면서 공급이 늘어났다. 시설을 차린 강사는 모두 자격증을 지닌 필라테스 전문가처럼 보이지만, 뚜껑을 열어 보니 돈만 내면 딸 수 있는 자격증이 대다수였다.
최근 한국직업능력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9월1일 기준 민간자격 수는 총 5만1373개다. 민간자격 등록은 자격기본법에서 정한 등록 금지분야만 아니면 모두 등록할 수 있어 각종 자격증이 난립하고 있다.
특히 필라테스 강사 자격증만 해도 1,215개다. ‘체형 필라테스 지도자’ ‘소기구·대기구 필라테스 지도자’ ‘키즈 필라테스 지도자’ 등 이름만 다르고 직종은 같은 자격증이 1,000개가 넘는 것이다.
![](https://cdn.tenbizt.com/tenbizt/2023/09/22133814/2-%ED%95%84%EB%9D%BC%ED%85%8C%EC%8A%A4.jpg)
이러한 필라테스 자격증을 따려면 보통 10주에 400만 원, 12주에 500만 원 등 고액의 수강료를 지불해야 하는데 말 그대로 돈만 내면 딸 수 있거나 발급 단체가 하루아침에 폐업할 가능성이 높단 문제가 있다.
실제로 자질과 전문성이 떨어지는데도 자격증 하나로 학원을 차려 피해를 봤다는 후기들이 올라왔다.
필라테스 수업 후 목에 심한 통증이 생긴 A씨. 강사는 ‘일시적인 근육통’이라 설명했지만 병원에 가보니 목 디스크 판정을 받았다. 지인들을 통해 들어보니 해당 강사는 승무원 출신으로 자격증을 발급받은 지 3개월밖에 안 된 사람이었다.
여성 B씨도 무리한 자세 훈련으로 통증을 호소하자 “회원님이 집에서 스트레칭을 안 하고 오셔서 그런거다”라며 오히려 핀잔을 들었다고 한다.
![](https://cdn.tenbizt.com/tenbizt/2023/09/22133819/1-%ED%95%84%EB%9D%BC%ED%85%8C%EC%8A%A4.jpg)
일부 누리꾼들도 “고졸에 양아치였던 동창이 필라테스 강사하고 있더라”, “카페 사장하다가 필라테스 자격증 따고 학원 차린 사람도 봤다”, “사람 몸 다루는 직업인데 이렇게 막무가내이니 어디 제대로 운동할 수 있나” 등의 댓글을 남겼다.
이러한 사례 때문에 일각에서는 자격 등록에 필요한 요건을 까다롭게 재정비하거나 공인 자격증을 창설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