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연계’ 명문대 계약학과
미등록률 지난해 대비 급등
의대 등록 추정
![](https://cdn.tenbizt.com/tenbizt/2024/02/14150932/%EA%B3%84%EC%95%BD%ED%95%99%EA%B3%BC-%EB%AF%B8%EB%8B%AC-%EC%9D%98%EB%8C%80.jpg)
의대 입학정원 확대로 ‘의대 열풍’이 불고 있다. 직장인마저 의대 진학 상담에 관심을 두는 가운데 명문대마저 학과 인원수에 구멍이 난다고 한다.
14일 대입전문 종로학원에 따르면 고려대·연세대가 정시에서 모집한 인원(정원 내) 3345명 중 24%에 해당하는 804명이 등록을 하지 않았다.
계열별로 살펴보면 두 학교 모두 대기업 연계 반도체학과와 첨단학과 등 계약학과의 미등록률이 지난해 대비 급등한 것으로 파악됐다.
![](https://cdn.tenbizt.com/tenbizt/2024/02/14150927/2%EC%97%B0%EA%B3%A0%EB%8C%80.jpg)
삼성전자와 연계된 고려대 차세대통신학과(삼성전자)는 10명 중 7명이 등록하지 않았고, 마찬가지로 삼성전자 연계 연세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는 정시 최초합격자 25명 중 23명인 92%가 등록을 하지 않았다.
이 밖에도 고려대 스마트모빌리티학부(현대자동차)·반도체공학과(SK하이닉스)는 절반 이상이 미등록이며 연세대 디스플레이융합공학과(LG디스플레이)는 7명 중 3명이 등록하지 않았다.
‘의대 열풍’으로 대기업 연계 이공계 학과 미등록자의 대부분이 의대나 서울대 등에 중복 합격한 것으로 추정됐다.
![](https://cdn.tenbizt.com/tenbizt/2024/02/14150927/3%EC%97%B0%EA%B3%A0%EB%8C%80.jpg)
한편 명문대 계약학과란 대학이 기업과 계약을 맺고 기업이 요구하는 특정 분야를 전공으로 개설한 학과를 말한다.
졸업 후 취업이 보장될뿐더러 등록금, 기숙사비 전액 지원, 최신 노트북·태블릿PC 지급, 학기 재학 중 해외 견학, 단기 유학 프로그램 제공, 생활비 연간 1,000만 원 지급 등 파격 혜택이 주어진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