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수처, 대통령기록관 압수수색
채상병 사건 의혹 규명
尹, 격노 자료 확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故 채수근 해병대 상병 순직 사건과 관련된 수사 외압 의혹을 규명하기 위해 대통령기록관을 압수수색 했다.
공수처 해병대원 순직 사건 수사팀(부장검사 차정현)은 10일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 2023년 7월 31일 국가안보실 회의에서 채상병 사건 보고를 받고 격노했다는 정황을 확인하기 위한 자료 확보에 나섰다.
이번 압수수색을 통해 공수처는 당시 국가안보실 회의록과 대통령실 출입 기록 등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공수처는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에게 대통령 부속실 번호(02-800-7070)로 걸려 온 전화 기록 확보에도 주력하고 있다.
이번 의혹은 지난 2023년 7월, 경북 예천군에서 수해 실종자 수색 임무 중 급류에 휩쓸려 숨진 채 상병의 사망 사건을 해병대가 수사하는 과정에서 비롯됐다.
수사를 주도한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은 사건을 경찰에 이첩하려 했으나 상부로부터 보류 지시를 받았고, 이에 반발하며 외압 의혹이 불거졌다.

박 전 단장은 이후 항명 혐의로 기소됐지만 1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다.
그는 “윤석열 당시 대통령이 수사 보고를 받고 격노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밝혔고, 당시 해병대 지휘부 내에서도 “이런 일로 사단장을 처벌하면 누가 지휘관을 하겠느냐”는 윤 전 대통령의 발언이 공유된 바 있다.
공수처는 박 전 단장의 진술을 바탕으로, 윤 전 대통령이 실제로 수사에 부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는지 수사 중이다.
한편, 대통령기록관은 지난 6월 4일, 윤 전 대통령 재임 기간 중 생산된 제20대 대통령기록물 1,365만 건을 ‘대통령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공식 이관받았다고 밝혔다.
공수처는 이번 압수수색을 통해 이 기록물 중 수사 외압 의혹과 관련된 자료 확보를 노린 것으로 보인다.
댓글2
허뮤희
그러게
재앙이 기록물은안돼고 나중에 죄명이 기록물도 안됄꺼고 허허 근데 누구꺼는 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