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김용태 거취 논의
당내 계파 갈등 격화
후보 교체 진상규명 놓고 충돌

국민의힘이 의원총회를 열고 차기 지도체제와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의 거취 문제를 논의한다.
9일 개최되는 의총의 핵심 쟁점은 김 위원장의 임기 연장 여부다.
김 위원장은 지난 5일 의총에서 비대위원 전원이 사의를 표명한 이후 “당내 의견을 듣고 결정하겠다”고 밝혔지만, 전날 기자회견에서는 “9월 초까지 전당대회를 치를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며 사실상 임기 연장을 시사했다.
그는 또 “제 임기는 개혁이 완수될 때(까지)”라며 “당을 살릴 수 있다면 제게 주어진 다양한 권한을 검토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의 이 같은 발언은 당헌에 명시된 ‘전국위원회 의결을 거쳐 비대위 임기를 1회에 한해 6개월 내 연장 가능’ 조항을 염두에 둔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김 위원장의 현재 임기는 이달 30일까지다.
당내 계파 간 의견은 극명하게 갈린다.
친한동훈계는 조기 전당대회를 요구하며 김 위원장의 임기 연장에 반대하는 반면, 친윤석열계는 당분간 비대위 체제를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앞서 김 위원장이 당무감사권을 발동해 대선 과정에서의 후보 교체 시도에 대해 “진상을 규명하고 합당한 책임을 부과하겠다”고 밝힌 것도 논란의 불씨가 되고 있다.
당시 비대위원장이었던 권영세 의원은 이에 대해 “처음부터 ‘부당’ 단일화로 규정한 것은 중립성을 의심케 하는 잘못된 표현”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그는 “제가 사퇴한 것도 단일화 실패를 책임지는 차원에서 한 것이지 단일화의 불법 부당성을 인정한 것이 결코 아니다”고 강조했다.
안철수 의원도 김 위원장을 향해 공개 비판에 나섰다.
그는 “9월 전대를 이야기하면서도 정작 사퇴 시점은 명확히 하지 않으면 불필요한 혼란과 오해를 낳을 수 있다”며 “현 비대위원장이 언제까지 직을 수행할지부터 분명히 해야 새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을 모실지, 겸임할지 등 구조를 정하고 전당대회 일정을 체계적으로 추진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국민의힘 김문수 전 대선후보는 대선 이후 나경원, 안철수 의원 등을 잇달아 만나 당권 도전 관측을 낳고 있다.
그는 이번 주 다른 공동선대위원장들을 비롯해 이번 대선에서 자신을 지지했던 새미래민주당 이낙연 상임고문,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와도 만남을 추진하고 있다.
댓글1
아직도 정신 못차린 국힘 대선패배도 모자라 단합은커녕 밥그릇 싸움이나 하는꼴 도저히 못봐주겠네 그렇게 하면 차후 총선이나 대선은 아예 꿈도꾸지 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