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산 두산위브더제니스
과거 미분양 논란
두산건설은 상장폐지 당해
![](https://cdn.tenbizt.com/tenbizt/2023/09/21184742/1-%EB%91%90%EC%82%B0.jpg)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탄현동에 있는 ‘일산 두산위브더제니스’는 두산건설이 야심차게 준비한 아파트이지만, 한동안 ‘아픈 손가락’이라 불리던 주택이었다.
오랜 시간 미분양으로 고생했기 때문이다.
당시 탄현동은 논밭에 허허벌판으로 소위 말하는 낙후된 지역이었다. 이 부지에 초고층 주상복합이 들어선다고 하자 이 아파트는 추진부터 주목받았다.
그러나 과정은 순탄하지 않았다. 시행사가 대출받은 자금 중 수백억 원을 빼돌리고 수많은 비리가 적발되면서 대표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무더기로 구속되어 결국 부도 처리됐다.
이후 사업은 다른 시행사로 넘어갔으나, 앞선 시행사와의 짧지 않은 법정 소송이 계속됐다.
![](https://cdn.tenbizt.com/tenbizt/2023/09/21184743/2-%EB%91%90%EC%82%B0.jpg)
우여곡절 끝에 2009년을 마치고 분양에 나섰으나 글로벌 금융위기가 겹치며 부동산 경기가 급격히 침체하기 시작했다.
분양을 포기하는 사례가 속출하면서 초기 계약 세대 가운데 실제 입주자 비율은 25%에 그쳤다.
심지어 이곳은 아파트 최초로 홈쇼핑까지 진출한 바 있다.
미분양이 예상보다 훨씬 길어지자 두산은 분양대금의 22~25%를 납부하고 3년간 살아보는 ‘애프터 리빙제’를 내걸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관리비를 모두 시공사가 내고 최대 월 170만 원의 연금까지 준다고 홍보했지만 미분양은 쉽게 해소되지 못했다.
![](https://cdn.tenbizt.com/tenbizt/2023/09/21184742/3-%EB%91%90%EC%82%B0.jpg)
또한 두산건설은 공사대금을 받지 못했을 뿐 아니라 2018년 미분양 대형 평수를 할인분양하면서 크나큰 손실을 입었다.
주요 손실 4,480억 원 중 ‘일산 두산위브더제니스’와 관련한 손실이 1,600억 원으로 가장 큰 것으로 드러났었다.
결국 두산건설은 2019년 연말 상장 23년 만에 폐지됐는데, 일산 위브더제니스가 부실의 단초가 됐다는 평가도 제기됐다.
![](https://cdn.tenbizt.com/tenbizt/2023/09/21184743/4-%EB%91%90%EC%82%B0.jpg)
한편 일산 두산위브더제니스는 경의중앙선 탄현역과 직접 연결된 역세권이며 단지 내 편의시설도 잘 마련됐다.
경기 일산 서구의 2700가구 규모 대단지 ‘일산두산위브더제니스’의 전용 120㎡는 지난해 6월까지만 해도 8억 7,000만 원에 팔렸다. 해당 면적 아파트는 지난 2021년 하반기부터 약 1년간 대부분 8억 원대에 거래됐지만 지난 1년간 실거래 가격이 꾸준히 하락해 지난달 24일엔 7억 2,000만원에 손바뀜 됐다.
현재 인근 부동산에는 6억 8,000만원에도 급매물이 나왔다고 한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