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0.0001% 직업
박제 작품들 제작하는 박제사
합격률 낮기로도 유명한 시험
1년에 1명 뽑힐까 말까 하다는 직업의 정체는 바로 박제사이다.
박제사란 이들은 전시와 연구, 교육용으로 활용하기 위해 죽은 동물들을 살아있을 때 모습으로 복원하거나 영구 보존할 수 있도록 만드는 직업이다.
박제사는 동물을 복원하거나 골격표본, 부분 박제 등의 작업을 거쳐 다방면으로 활용이 가능한 박제 작품들을 제작한다.
먼저 동물이 죽으면 수의사가 부검을 하기 전에 박제사에게 박제를 할 것인지 골격표본을 할 것인지를 물어보며 외상이 있거나 피부 괴사가 있으면 박제가 아닌 골격표본으로 작업이 시작되고 가죽을 벗겨서 박제실로 가져오게 된다.
윤지나 박제사의 말에 따르면 시베리아 호랑이 ‘한울이’, ‘코아’의 박제는 약 1년에 걸쳐 완성되었다고 한다.
국가 자격증이 없어도 박제를 할 수는 있지만, 천연기념물을 박제할 때는 국가자격증이 필요하다. 현재는 박제를 배우려면 전문가한테 직접 찾아가서 알려달라고 해야 되는 상황이라고 알려져 있다.
현재 국내에서 박제사 국가공인자격증을 갖고 있는 사람은 대략 50명 정도이며 여자는 3명 이상이다.
하지만 해당 자격증은 합격률이 낮기로도 유명한 시험으로 한 번에 붙는 일이 거의 드물 정도라고 한다.
최근에 자격증 시험 응시자 수가 너무 줄어서 한국에 박제사 직업의 대가 끊길 수 있다는 말도 나온다는 상황이다.
국내 유일 동물원 소속 박제사인 윤지나 박제사는 그동안 표본 290여 점을 제작한 경력 10년 차 베테랑이다.
윤지나 박제사는 수의대 동물해부학 연구실에서 학부생 인턴을 하며 골격표본을 하던 중 박제의 매력에 빠지게 됐다고 밝혔다.
윤지나 박제사는 한 인터뷰에서 “앞으로 표본 제작 과정에서 3D 기술의 접목이 필요하다”라며 “인력이 충원돼 더 많은 표본 자료를 후대에 남길 수 있으면 좋겠다”라고 전했다.
댓글0